xenserver에 추가했던 SR을 제거해야 할 일이 있을수 있다.나같은 경우엔 USB외장디스크에 8테라 디스크를 장착하고 XEN SERVER에 연결후 sr로 등록하고 사용하려고 했으나 맘이 변해서 추가했던 8테라 sr를 제거하고 싶었다.그럴땐 아래와 같은 순서로 하면 된다. [09:49 cni ~]# xe sr-list => sr리스트 확인 uuid ( RO) : ea47c709-036a-1f4b-ba85-3f054cf82b44 name-label ( RW): usb_storage4TB name-description ( RW): host ( RO): cni192.168.6.2 type ( RO): lvm content-type ( RO): user uuid (…
[태그:] linux
centos7에 postgresql13 설치하기
1. vi /etc/security/limits.conf postgres soft nofile 65535 postgres hard nofile 65535 2. vi /etc/sysctl.conf fs.file-max = 65535 3. sysctl -p 4. yum -y install gcc gcc-c++ make autoconf readline readline-devel zlib zlib-devel openssl openssl-devel gettext gettext-devel python python-devel wget 5. sudo yum -y install https://download.postgresql.org/pub/repos/yum/reporpms/EL-7-x86_64/pgdg-redhat-repo-latest.noarch.rpm 6. yum -y update 7. yum -y install postgresql13 postgresql13-server 8. /usr/pgsql-13/bin/postgresql-13-setup initdb 9.…
xen server에 ubuntu18 xen-tools 설치
xen server에 만든 VM중 centos는 별무리 없이 xen-tools가 설치가 되지만 ubuntu18에서는 설치가 정상적으로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럴땐 아래와 같은 명령어로 재설치를 해본다. 위와 같이 기존에 정보들을 삭제후 설치하면 정상적으로 설치된다. 이후엔 리부팅후 확인하면 되겠다.
리눅스 서버간 폴더 동기화
리눅스 서버를 두대 세대 운영하다 보면 특정 폴더를 실시간 동기화 해야 할때가 있다. 보통 예전엔 rsync를 사용해서 했지만 centos5 버전 이후에는 커널급에서 지원하는 lsyncd 를 사용하나 보다. 설정은 쉽다. #yum install epel-release –y #yum install lsyncd lua rsync # vi /etc/lsyncd.conf 위와 같이 패키지 설치하고 설정화일을 자신의 환경에 맞춰서 설정후 #systemctl start lsyncd#systemctl enable lsyncd 하면 끝이다. 1번서버의 특정 폴더에서 변한것이 있으면 곧바로 2번(위에 설정에서는 192.168.0.5:/data 폴더로)서버로 동기화 된다. 물론 2번 서버에서 1번 서버로 동기화가 필요하면 2번 서버에도 동일하게 설정해주면 된다. 추가)20201015혹시 동기화 중에 비정상적이면 1. systemctl status lsyncd 메세지 확인2. echo 65536 > /proc/sys/fs/inotify/max_user_watches 또는 sysctl fs.inotify.max_user_watches=65536 명령어로 커널값…
svn 실행 명령어
svnserve -d -r /home/svn /home/svn에 데이터 폴더가 있다고 하면 위와 같이 가볍게 명령어 내리면 끝. svnserve -d -r /home/svn –listen-port 포트번호 특정 포트로 실행.
젠킨스 타임 스페이스 옮기기
1. jenkins 유저로 설치된 젠키스를 root계정으로 실행시켰을때 타임스페이스(저장공간)이 .jenkins 와 같이 root 폴더 아래 생성 되는 경우가 있다. 2. jenkins 중지 3. 심볼리 링크 또는 파일 copy등으로 기존 타임스페이스 폴더(저장공간)이 지워지지 않게 넉넉한 폴더로 이전. 4. 이후 젠키스를 실행시키면 초기 설정 화면 나온다. 5. 위와 같은 화면이 나왔을때 최초 아무것도 없는 젠키스 설치할때와 같이 패스워드를 검색해서 기입하지 말고그냥 나옴. 6. 그냥 이전같이 로그인 화면으로 이동해본다. 7. 거짓말 같이 이전 화면이 나온다. 8. mysql 데이터 폴더 이전때와 비슷한 경우이다. mysql도 데이터폴더를 이전하고 난 다음 mysql를 재시작하면 기존 데이터들을 불러오던 상황.
리눅스 인증서 패스워드 검사
가끔 ssl 인증서 작업시 패스워드가 틀린 경우가 있다. 한국 정보 인증에서 메일로 받더라도 인증서 패스워드가 틀린 경우가 있다. 이럴땐 openssl rsa -in 키파일이름.key 명령어로 해당 패스워드가 정상인지 확인 할수 있다. 한국 정보인증에서 메일로 보내준 SSL인증서 메일의 패스워드가 100% 정확하다고 믿지 말자. 한국정보인증에서 보내준 잘못된 패스워드 때문에 어제 3시간 동안 헛발질 했다.!!!
Resource temporarily unavailable(자원이 일시적으로 사용 불가능함) 오류조치
su로 사용자를 전환하거나 putty등으로 로그인할때 “Resource temporarily unavailable(자원이 일시적으로 사용 불가능함)”이라는 메세지가 나타날 수 있는데 ulimit -a 로 해서 보면 로그인한 사용자의 리소스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다. 이중에서 max user processes가 보통 1024로 지정되어 있는데 이를 초과해서 발생하는 문제이므로 이값을 늘려주어야 한다. 방법은 /etc/security/limits.conf를 열어 아래내용을 추가한다.(hadoop사용자의 max user processes값을 100000로 설정하는 경우) hadoop – nproc 100000 *참고(프로세스 확인방법) – 아래 명령으로 hadoop사용자의 현재 프로세스를 확인할 수 있다 ps -ef -L -u hadoop | wc -l 참고 : https://www.gooper.com/ss/?mid=bigdata&document_srl=3056
실행 프로세스가 사용하고 있는 포트 수 알아내기
현재 각 프로세스 PID가 사용하고 있는 포트수(열린 포트수)가 몇개인지 궁금할때가 있다. 이럴땐 lsof 명령어를 이용하자. 해당 프로세스의 PID를 알아낸다.ps -ef | grep apache 해당 프로세스 PID가 8888인것으로 알아냈고, 8080포트를 사용하는 갯수를 알고 싶다면lsof -p 8888 | grep 8080 | wc -l이라고 명령어를 내린다.wc -l 은 당연히 카운트 하는 명령어이다. 프로세스 여러개에서 특정 포트가 열린갯수를 알고 싶다면 컴마를 넣어서 알아낼수 있다. lsof -p 8888,8889,8890 | grep 8080 | wc -l
Jmeter remote mode 성능 측정
성능테스트 할때 많이 사용하는 jmeter. 보통은 non gui 모드로 테스트를 많이 한다. 하지만 가끔 내 노트북(클라이언트)에서 성능 좋은 서버(서버)에 jmeter를 설치해놓고 원격으로 서비스의 성능을 테스트 하고 싶을때가 있다. 이럴땐 첨부된 환경 설정 파일을 이름만 바꿔서 사용하자.각자 서버 ip만 바꿔주고 기본 포트인 1099포트로 접속하면 된다. 유념할것이 있다.1. 테스트가 비정상인 경우 혹시 자신의 노트북에 vmware나 virtual box등 가상머신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해보자. 해당 가상 네트워크 어뎁터가 있으면 모조리 삭제를 하던지, 중지 시키고 서버에 접속해보면 99% 정상적으로 접속될것이다. 2. 성능테스트에 사용할 스크립트 파일내에 파일 경로가 있다면 유념해서 정리한다. 별도로 참조해야 하는 파일등이 있다면 서버에 올려놓고 서버의 경로를 적어준다.